이명 (耳鳴, Tinnitus)은 왜 생길까?

이미지
이명 (耳鳴, Tinnitus)은 왜 생길까? 요즘 보면 이명으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이 꽤 있는 것 같아. 처방약을 받아 먹어봐도 별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전 세계 인구 중 지속적 이명을 겪는 사람이 약 5~8% 정도 된다는 통계가 있어. 그럼 이명은 무엇이고, 왜 생기는 걸까? 이명은 실제로 외부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데도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이야. 이명에서 나는 소리는 사람마다 다 다르게 느껴져. 보통 "삐-", "윙-", "지직-" 같은 소리로 느껴지고, 한쪽 귀나 양쪽 귀에서 들릴 수 있어. 이명의 원인은 아주 다양한데, 노화, 소음 노출, 스트레스 등으로 점점 더 흔해지고 있어. 특히 장기간 이어폰 사용으로 인해 이명 소리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난다고 해. 이명은 원인에 따라 완치가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특히 원인을 찾기 어려운 만성 이명은 완치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소리 특징에 따라 의심할 수 있는 원인 몇 가지를 소개해 보면, * 삐 소리는 보통 소음 노출, 청신경 손상, 스트레스 등이 원인일 경우가 많고, * 박동 소리(쿵쿵)는 혈관 문제, 고혈압, 이관 이상이 원인일 경우가 많아. * 지직/잡음은 신경계 이상, 스트레스, 약물 부작용일 경우가 많지. 나는 소음 노출로 인하여 삐 소리가 계속 들려 이비인후과에서 정밀 검사 받고, 1개월 동안 처방약 먹고 호전이 별로 없어서 인터넷을 검색해보다 "비뮤트"라는 건강기능식품 형태의 보조제 제품을 보고 지금 3개월 동안 먹고 있는데, "비뮤트" 덕분인지, 아니면 그냥 시간이 지나 자연 치유된 건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많이 호전되고 있는 상태야. 혹시 병원에 다녀도 이명 소리가 계속 들리는 분들 계시면, "비뮤트" 제품 한 번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 소개를 한번 해봄. 이번 글은 여기서 끝~!

중국은 몇 개의 민족이 있을까?

중국은 몇 개의 민족이 있을까?


같은 중국인이지만 서로 다른 민족이라는 사실, 혹시 알고 있었어?

중국에는 공식적으로 56개 민족이 있어.

그중 한족(汉族)이 가장 많고, 나머지 55개는 소수민족(少数民族)이라고 불러.

전체 인구의 약 91%가 한족이고, 나머지 약 9%가 55개 소수민족이야.

여기서 한족은 당연히 중국을 대표하는 민족이고,

우리가 한국에서 흔히들 보는 중국인은 조선족과 한족이야.


중국 56개 민족별 인구수 (2020년 기준)

민족명 (한글) / 중국어 명칭 / 인구(명) 한번 정리해 보면.


1. 한족 汉族 약 1,286,000,000

2. 좡족 壮族 약 18,000,000

3. 회족 回族 약 10,586,000

4. 만주족 满族 약 10,387,000

5. 위구르족 维吾尔族 약 11,624,000

6. 묘족 苗族 약 9,426,000

7. 이족 彝族 약 9,043,000

8. 투쟈족 土家族 약 8,353,000

9. 티베트족 藏族 약 6,266,000

10. 몽골족 蒙古族 약 6,290,000

11. 동족 侗族 약 3,537,000

12. 요족 瑶族 약 2,796,000

13. 백족 白族 약 2,087,000

14. 부이족 布依族 약 2,870,000

15. 하니족 哈尼族 약 1,660,000

16. 카자흐족 哈萨克族 약 1,620,000

17. 리족 黎族 약 1,475,000

18. 다이족 傣族 약 1,261,000

19. 리수족 傈僳族 약 702,000

20. 와족 佤族 약 429,000

21. 수이족 水族 약 415,000

22. 납서족 纳西族 약 328,000

23. 길갱족 羌族 약 326,000

24. 투족 土族 약 289,000

25. 시버족 锡伯族 약 190,000

26. 거라오족 仡佬族 약 709,000

27. 샤족 仫佬族 약 216,000

28. 부랑족 布朗族 약 120,000

29. 타지크족 塔吉克族 약 51,000

30. 아창족 阿昌族 약 41,000

31. 푸미족 普米族 약 44,000

32. 에윈커족 鄂温克族 약 30,000

33. 드룽족 德昂族 약 20,000

34. 징퍼족 景颇族 약 147,000

35. 러우바족 珞巴族 약 3,000

36. 우즈베크족 乌孜别克族 약 13,000

37. 러시아족 俄罗斯族 약 15,000

38. 어룬춘족 鄂伦春族 약 8,000

39. 타타르족 塔塔尔族 약 3,500

40. 허저족 赫哲族 약 5,000

41. 먼바족 门巴族 약 11,000

42. 독룡족 独龙族 약 7,000

43. 누족 怒族 약 37,000

44. 징족 京族 약 28,000

45. 다우르족 达斡尔族 약 132,000

46. 바오안족 保安族 약 21,000

47. 유구르족 裕固族 약 14,000

48. 고산족 高山族 약 4,000

49. 살라족 撒拉族 약 130,000

50. 마오난족 毛南族 약 107,000

51. 조선족 朝鲜族 약 1,702,000

52. 시앙족 羌族 (위의 길갱족과 혼동될 수 있음)

53. 진파오족 基诺族 약 22,000

54. 타지족 达斡尔族 (다우르족과 동일)

55. 샤오족 仡佬族 (거라오족과 동일)

56. 하카족 客家族 (공식 민족은 아님. 한족 내 분파)

참고로 **하카족(客家人)**은 56개 민족 중에 포함되지 않아.

한족의 방언/분파로 분류돼.

일부 민족은 서로 통합되거나 명칭이 다르게 불리기도 해.


조선족 역사를 간단히 정리해보면 크게 두 번의 이주로 볼 수 있어.

조선족(朝鲜族)은 중국에 사는 한국계 민족이야.

한국과 조선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들이지.

언어, 문화, 음식, 복식, 전통 등에서 한민족과 매우 비슷해.


첫 번째 이주는 1860년대~1880년대 조선 후기.

가난, 기근, 세금, 병역 회피 등을 피해 사람들이 두만강과 압록강을 건너

만주 지역(지린·헤이룽장 등)으로 이주했어.


두 번째 이주는 일제 식민지 시절.

독립운동을 위해 만주로 넘어간 사람들도 많았고,

가난을 피해 이주한 사람도 많았어.

1949년, 중국이 공산화되고 조선인을 조선족으로 공식적인 '소수민족'으로 인정했어.

그래서 조선족은 중국의 제일 망내 민족이기도 해.

이후 조선족 자치구·자치현이 생기고, 언어·문화 자율성도 보장됐지.

이번 글은 여기서 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강력 추천 치약 (암앤해머 덴탈케어 컴플리트케어 치약)

국민연금 기금 고갈 해결 책

컴퓨터 빨라지게 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