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살리기와 지구 온난화

이미지
고래 살리기와 지구 온난화 많은 사람들이 고래는 물고기라고 알고 있어. 하지만 물고기가 아니라 포유류라서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이고,  숨을 쉬기 위해 수면 위로 올라와 허파로 숨을 쉬어. 바다에 살아서 물고기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소, 사슴 같은 포유류 친척이야. 고래는 물 속에서는 부력이 있어 몸무게를 못 느끼지만, 몸이 워낙 크고 발과 다리가 없어 활좌초가 되면 자기 몸무게에 깔려 장기가 파손되고 결국 사망에 이르기도 해. 예전엔 고래 기름을 등유나 촛불 대신 등불, 램프, 양초 등에 사용하기도 했어. 고래의 지방층을 끓여서 기름을 짜내어,  이 기름은 램프유(조명유)로 태워서 불을 밝히는 데 사용했지. 특히 향유고래의 머릿기름은 고급 양초나 램프용 기름으로 인기가 있었어. 그 당시 가장 밝고 깨끗하게 타는 연료였거든. 그러다 고래잡이가 너무 과도해서 고래 수가 줄어들고,  이러다 멸종하는 거 아니야 하는 생각에 사람들은 대체품을 찾기 시작했어. 결국 석유에서 뽑은 등유가 나오면서 고래기름 사용은 사라졌지. 아마도 그때부터 석유를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한 것 같아. 현재는 사람들의 과도한 석유 사용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어 버렸지. 이번 글은 여기서 끝~!

G7이 뭐길래 자꾸 뉴스에 나오는 걸까?

G7이 뭐길래 자꾸 뉴스에 나오는 걸까?


요즘 뉴스 보면 G7이 자주 등장하잖아.

이건 세계 주요 7개 나라가 모인 협의체야.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가 있어.

이 7개국은 세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국제적인 문제를 논의할 때 항상 앞장서는 역할을 해.

예를 들어 기후 변화, 국제 안보, 경제 위기, 전쟁 문제 같은 거 말이야.


원래는 1975년에 6개국(G6)으로 시작했고,

다음 해 캐나다가 합류하면서 G7이 됐어.

러시아가 들어와서 G8이 된 적도 있었지만,

2014년에 크림반도 문제로 러시아가 빠지면서 다시 G7으로 돌아왔지.


G7 회의는 매년 열리는데, 돌아가면서 한 나라가 주최해.

정상들이 만나서 세계를 어떻게 이끌어갈지 의견을 나누는 자리인 거야.

법적으로 강제력은 없지만, G7의 결정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줘.


주최국은 G7이 아닌 다른 나라도 초청할 수 있는데,

이번 G7은 캐나다가 주최했고, 캐나다 정부가 한국을 공식 초청했어.

미국 트럼프는 왔다가 국내에 급한 일 있다고 가버렸고.


결론

공식적으로는 *“민주주의, 자유시장, 국제질서 협력”*을 위한 협의체 인데, 사실은 잘나가는 나라들이 모여서 이용 가치 있는 나라들 불러다 비즈니스 하는 거라고 보면 쉬워.


이번 글은 여기서 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강력 추천 치약 (암앤해머 덴탈케어 컴플리트케어 치약)

국민연금 기금 고갈 해결 책

컴퓨터 빨라지게 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