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살리기와 지구 온난화

이미지
고래 살리기와 지구 온난화 많은 사람들이 고래는 물고기라고 알고 있어. 하지만 물고기가 아니라 포유류라서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이고,  숨을 쉬기 위해 수면 위로 올라와 허파로 숨을 쉬어. 바다에 살아서 물고기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소, 사슴 같은 포유류 친척이야. 고래는 물 속에서는 부력이 있어 몸무게를 못 느끼지만, 몸이 워낙 크고 발과 다리가 없어 활좌초가 되면 자기 몸무게에 깔려 장기가 파손되고 결국 사망에 이르기도 해. 예전엔 고래 기름을 등유나 촛불 대신 등불, 램프, 양초 등에 사용하기도 했어. 고래의 지방층을 끓여서 기름을 짜내어,  이 기름은 램프유(조명유)로 태워서 불을 밝히는 데 사용했지. 특히 향유고래의 머릿기름은 고급 양초나 램프용 기름으로 인기가 있었어. 그 당시 가장 밝고 깨끗하게 타는 연료였거든. 그러다 고래잡이가 너무 과도해서 고래 수가 줄어들고,  이러다 멸종하는 거 아니야 하는 생각에 사람들은 대체품을 찾기 시작했어. 결국 석유에서 뽑은 등유가 나오면서 고래기름 사용은 사라졌지. 아마도 그때부터 석유를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한 것 같아. 현재는 사람들의 과도한 석유 사용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어 버렸지. 이번 글은 여기서 끝~!

요즘 사람들은 왜 해외여행을 많이 갈까?

요즘 사람들은 왜 해외여행을 많이 갈까?

요즘 주위를 보면 “경기가 안 좋다”, “돈이 없다”는 말을 자주 듣게 돼.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사람은 점점 늘어나는 분위기야. 
경기가 안 좋으면 소비를 줄여야 할 텐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 


감히 추측을 해보면 “보상 심리” 때문이지 않나 싶어.
생활은 팍팍하고 미래는 불안하지만, 
지금 당장 자신을 위로해 줄 수 있는 수단으로 해외여행을 택하는 거지.
예전엔 차를 사면서 스트레스를 풀었다면, 
지금은 차도 못 사고 집도 못 사니 ‘경험’이라도 사자는 흐름으로 바뀐 듯해.


실제로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카푸어”라는 말이 유행했지. 
집값이 너무 비싸서 차라도 갖자는 사람들, 
빚을 내서라도 좋은 차를 타던 흐름 말이야. 
그런데 요즘은 그런 말도 잘 안 들리지? 
그만큼 차를 사기도, 유지하기도 어려워진 거야. 
대신 차보다 덜 부담되면서도 만족감이 높은 해외여행이 그 자리를 대신한 셈이지.
이런 현상은 참 아이러니해. 


누군가는 자유롭게 떠나는 모습이 멋져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집도 없고 결혼도 못 하고 아이도 낳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 잠깐의 위로를 찾는 모습처럼 보여서 안타깝기도 해.
결국 지금의 해외여행 열풍은 단순한 여유로움의 상징이 아니라, 
현실 도피와 자기 보상의 수단일지도 몰라.
이번 글은 여기서 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강력 추천 치약 (암앤해머 덴탈케어 컴플리트케어 치약)

국민연금 기금 고갈 해결 책

컴퓨터 빨라지게 하는 방법